수족구란?
수족구병은 주로 어린이들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, 콕사키바이러스 A16과 엔테로바이러스 71 등이 주원인입니다. 이 질환은 손, 발, 입 주변에 발진이나 궤양을 일으키며, 대개 여름과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.
◈ 증상
수족구병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
◆ 발진 및 궤양: 손, 발, 입안, 엉덩이 등에 작은 붉은 반점이나 물집이 생깁니다.
◆ 고열: 초기에는 38-39도 정도의 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◆ 인후통 및 식욕부진: 입안의 궤양으로 인해 통증이 생겨 음식을 먹기 어려워집니다.
◆ 피로 및 무기력: 전신 피로감과 무기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.
◆경미한 호흡기 증상: 기침, 콧물 등 경미한 호흡기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◈ 전염 경로
수족구병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로로 전염됩니다.
◆ 직접 접촉: 타액, 가래, 코 분비물, 대변과의 접촉을 통해 전염됩니다.
◆ 공기 중 전파: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.
◆ 오염된 물건: 장난감, 식기류, 수건 등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염될 수 있습니다.
◈ 진단 및 치료
수족구병은 주로 임상 증상을 통해 진단됩니다. 바이러스 검사나 혈액 검사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습니다. 이 질환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,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요법이 주로 사용됩니다.
◆ 수분 섭취: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.
◆ 진통제 및 해열제: 고열과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이부프로펜이나 아세트아미노펜 같은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◆ 연고: 입안의 궤양을 완화하기 위한 국소 연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◈ 예방 방법
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권장됩니다.
◆ 손 씻기: 외출 후, 화장실 사용 후, 식사 전후에 비누와 물로 손을 철저히 씻습니다.
◆ 위생 관리: 장난감, 식기류, 수건 등을 자주 소독합니다.
◆ 환자 격리: 수족구병 환자는 발진이 가라앉을 때까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합니다.
◈ 합병증
대부분의 경우 수족구병은 경미하게 지나가지만,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◆ 뇌염: 뇌에 염증이 생기는 합병증으로,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◆ 무균성 뇌막염: 뇌와 척수를 덮고 있는 막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.
◆ 마비: 드물게 팔이나 다리의 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어린이집, 유치원 등원은?
심한 고열이나 손, 발, 입 등 심한 물집, 수족구 전염성이 높은 초기 (첫 증상이 나타난 후 첫 주) 동안은 집에서 격리하는 것이 좋습니다.
수족구병은 주로 어린이들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, 발진, 고열, 인후통 등을 일으킵니다. 철저한 손 씻기와 위생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, 대증 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 질환이 의심되거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지금까지 수족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^^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데노바이러스 증상 및 예방법 (15) | 2024.07.06 |
---|---|
중이염 증상 및 예방법 (23) | 2024.07.04 |
장염 증상 및 장염에 좋은 음식 (21) | 2024.07.01 |
식중독 증상 및 예방법 (13) | 2024.06.30 |
백일해 증상과 예방법 (15) | 2024.06.28 |